-
반응형
캘리최의 웰씽킹 책을 읽고 있다. 책 중간에는 나의 '핵심가치'를 찾아라라는 구절이 나온다. 아울러 60가지의 핵심가치의 예시를 제시해준다. 여기서 자신이 삶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를 선정하고, 그것을 10개로 줄이고 다시 5개로 줄여보는 것이다. 그러면 그 중에서 내가 정말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내가 뽑은 5가지 가치는
성취
경험
균형
공감
성장
이었다.
워런버핏이 말했듯이 인생에는 다양한 가치들이 존재하지만 우리는 전부 다 이루기 어렵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그렇기에 핵심가치 (core value)를 선정하고 그것에 집중하는 방법을 배워야한다.
나는 늘 '돈'에 쫓기고 부 wealth를 경험하고 싶어했지만, 실제로 머리에 무엇이 들었는지 파헤쳐 보면 들어있는 것들은 "인생에 찾아오는 다양한 빛깔의 다채로운 경험들"을 추구하는 삶이 내가 원하는 삶이었다.
다양한 경험을 통해 성취를 맛보고, 성장을 한다. 대신 지나친 것은 부족한 것만 못하다는 핵심가치를 가지고 있어 늘 중용과 균형이 인생에 따르기를 바라고, 내 주변 사람들과 함께 공감하고 성장해나가고 싶다. 이것이 핵심 가치인 나에게는 당장 눈 앞의 돈이 중요한게 아니었다.
생각보다 자수성가로 부를 이룬 사람들이 말하길, 10억을 만들었던 자신과 100억 자산가가 된 자신의 삶은 크게 달라진게 없다고 한다. 가장 달라진 점은 마음 속 막연한 불안감이 사라진 거라고.
웰씽킹에서 말하는 부란 마음의 여유로움과 부유함이다. 캘리님에게 돈이란 많으면 좋은 것이라했다. 나에게 돈이란 무엇인가 생각했을 때 내가 가장 먼저 생각난 구절은 "없으면 힘든것"이라는 부정적인 단어였다는 게 스스로 아주 놀랐던 부분이었다. 나도 모르게 돈에 대해 늘 부정적으로 생각해오고 있었음을 난 이제서야 알았으니까.
유투버 신사임당 주언규씨가 말하길, 본인은 인생에 4000만원이 더 생겼을 때 인생이 달라지지는 않았지만 반대로 4000만원의 빚이 생겼을 때는 인생이 달라졌다고 했다.
그렇게 사람은 빚을 진다는 것에 대한 엄청난 심적 부담감과 괴로움을 가질 수 있다는 말이기도 했다. 캘리님도 빚더미에 앉는 경험을 직접 해봤기에, 더 이상 빚을 지거나 엄청난 사업자금이 필요한 사업은 하지 않겠다고 했다. 이 두 분이 이런 결정을 하게 된 것도 자신의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나온 큰 자산이기도 하다.
그래서 늘 마음에 풍요를 느끼기 위한 삶을 산다면, 자연스럽게 나는 부유로운 삶을 살 수 있을거라 기대한다. 돈의 액수에 집착하는 삶이 아닌 늘 나누고 베풀어도 부족해지지 않는 화수분을 하나 갖고 싶다. 아마 사업가들이 그런 자본의 힘을 가진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사업가가 되고 싶은 이유는 선한 영향력을 주는 사람이, 더 큰 사람으로 성장해나가는 삶을 살고 싶어서겠다.
그러니, 늘 성장하고 공부하고 배우고 나누고 베풀며 살아야지.
반응형